[스크랩] 무산지몽(巫山之夢)
무산지몽(巫山之夢) : 무산(巫山)의 꿈,
남녀(男女)의 밀회(密會)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출전 : 문선(文選), 송옥 고당부(宋玉 高唐賦)
초(楚)나라양왕(襄王)이 송옥(宋玉)과 함께 운몽(雲夢)땅을 유람하다가
고당관(高唐館)에 머물게 되었다.
하늘을 바라보니 기이한 구름이 피어오르고 있어,
이상히 여긴 양왕(襄王)이 송옥(宋玉)에게 무슨일인가 묻자 이렇게 대답하였다.
"옛날 초회왕(楚懷王)께서 이 곳에서 노시다가 낮잠을 자는데
꿈에 요염한 여인이 나타나서
'저는 무산의 신녀(武山神女)로서 고당의 나그네가 되었는데
임금께서 여기 계시다는 소문을 듣고 찾아왔습니다.
바라옵건데 함께 잠들게 해 주십시오.' 라고 했습니다.
왕은 꿈 속에서나마 하룻밤을 그 여인과 동침하였는데,
헤어질 무렵이 되자 그 여인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妾在巫山之陽 高山之岨(첩재무산지양 고산지저)
且爲朝雲 暮爲行雨(차위조운 모위행우)
朝朝暮暮 陽臺之下(조조모모 양대지하)
'저는 무산 남쪽의 험준한 곳에 살고 있는 여인이온데,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 아래에서 아침 저녁으로 당신을 그리워하고 있을 것입니다.' "
말을 마치자 여인은 사라지고, 왕은 잠에서 깨어났다.
다음날 아침 왕이 무산 쪽을 바라보니
여인의 말대로 산봉우리에 아름다운 구름이 걸려 있었다.
왕은 여인을 그리워하며 그 곳에 조운묘(朝雲廟)라는 사당을 세웠다.
그후 武山之夢은 남녀간의 정교를 의미하게 되었으며,
陽臺란 은밀히 나누는 사랑을 가리킨다.
巫山之雲, 巫山之雨, 雲雨之樂, 雲雨之情, 雲雨之交와 같은 말이다.